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아래 블로그 대치동키즈의 또-엇을 보면 나와있습니다.
이 분은 항상 내집없는 부자는 없다 라는 모토를 가지고 계신 분입니다. 저분이 쓴 책의 제목이기도 하구요. 일단 집하나는 있어야 부자를 꿈꿀 수 있고 집하나는 무조건 부자가 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필요조건이라는 것입니다.
왜 이런이야기가 나왔는가,
노후 에 있어 생활비가 필요한데 조달수단은?
집 이라는 것입니다.

나라에서 받는 연금으로는 생활비를 충당할 수가 없어 결국 집에서 생활비를 뽑아낸다는 것입니다. 이걸봐도 저 글에서 말하는
내집없는 부자도 없지만 내집없는 노후도 없다 라는 것이 딱 와닿는 것이지요.
그렇지만 이분이 이번에 분석한 KB부자보고서 에는 다른 말이 또 나옵니다.
바로, 부족한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해서 내집에서 돈을 뽑아내려고하는데, 뽑아내는 수단이
노후에 집한채 있는 것을 팔아야한다
라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팔기는 싫다 라는게 핵심이지요.

그렇습니다. 이유는 몇가지가 있습니다. 제가 나름대로 분석해서 정리해보았는데요.
- 노후에 내가 가지고 있는 집은, 내 평생 모은 돈이자 투자의 결정체
- 똘똘한 한채의 기조 아래에서는 더더욱 그럴 수 밖에 없음.
그렇습니다. 은퇴 후에 내가 가진 집은, 우리나라같이 부동산에 자산이 몰빵된 사회에서는 바로 일평생 모은 돈의 집합체입니다.
더 좋은 급지로, 더 큰 평수로 갈아타고 갈아타며 부동산을 쌓아왔겠지요.
그런데 노후가 되니 돈이 없으니 그걸 팔아야하는데 그러기가 쉽지 않습니다. 왜냐?
- 그렇게 쌓아올린 부동산 자산은 바로 나의 자존심이자 내 노력의 결정체
- 노인이 되면 갑작스러운 삶과 환경의 변화는 받아들이기 쉽지 않음
- 그런데 노후자금때문에 집을 팔고 이사를 가야한다?
노후자금때문에 집을 팔고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가는 것은, 또는 같은 지역내에 좁은 평수로 다운그레이드 하는 것은,
첫번째 이유에서 자존심을 건드리는 것이고
만약 평수를 좁히지 않아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간다는것은 두번째 이유 – 갑작스러운 삶과 환경의 변화 – 를 받아들이라는 것이기때문에 하기 쉽지 않습니다.
또 평생 쌓아온 인적 네트워크, 친구, 이웃 커뮤니티 등이 노후에 외로움을 막아주고 건강을 유지하게해주는 중요한 요인인데
이사를 가게되면 그런걸 전부 잃어버리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더더욱 이사를 가기 힘듭니다. 그럼 어떻게하지요?
주택연금?
주택연금은 가지고있는 집을 토대로 돈을 빼먹는 것입니다. 이성적으로 생각하면 틀린 선택이 아닙니다. 왜냐면
- 향후 인구가 줄어들고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면 부동산 가격 상승도 둔화될 수 있어,지금 가치에 정부에서 돈을 연금식으로 주는 것이 남는 장사
이기 때문이지요. 그렇지만 저런 논리는 상급지를 제외한 중급지 주택에 적용되는 것이고, 상급지 주택은 가지고 있으면 있을수록 주택연금 이상의 이익이 됩니다.
그래서 주택연금에 가입하기도 쉽지않지요.
또 다른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주택연금을 가입하면 내 집을 결국 빼앗기고, 내 선택권을 제한당하는
기분이 들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사실이든 아니든 그런 기분이 들게 됩니다. 향후 자식에게 물려줘야겠단 생각도 하구요……
그래서 이도저도 아니고 선택지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런 고민을 하지 않기 위해,
똘똘한 한채에서 벗어나 다주택의 길을 가야한다
라고 생각합니다.
다주택을 할 경우에는 이 모든 고민에서 벗어납니다.
내가 깔고앉은 집 외에 또 집이 있으면,
- 내 거주하는 집을 건드리지 않고도 자식에게 물려줄 수 있고
- 세를 놓아서 추가 수입을 기대할 수도 있으며
- 노후자금이 필요해서 집을 헐어야할때도 내가 깔고앉아 거주하는 집을 팔지않아도되니 이사를 가지 않아도 됩니다.
비록 똘1채가 트렌드라고는하지만 상승기에는 다주택이 더 운용의 자유도도 높고, 무지막지한 여러채만 아니라면, 세금도 감당할만한 수준입니다.
특히 일시적2주택의 세제혜택은 반드시 챙겨먹어야하는 것이고, 좀 많이 다주택을 한다면 3주택도 노려볼수 있겠지요.
그 이상의 4~5주택은 갑작스러운 하락기나 규제를 맞게 될 경우, 리스크가 좀 크다고 볼 수 있구요.
아무튼 저 보고서를 보니 저의 평소 신념인 다주택을 해야한다는 것이 뒷받침되는 것 같아 반가웠습니다.

답글 남기기